재단 포커스
서울아산병원, 세계 '승모판 치료' 가이드라인 재정립 | 등록일: 2014.04.10 | ||
---|---|---|---|
14년간 610명 관찰 조기수술 군 사망 단 1명, 기존치료군 사망에 비해 1/10
심하게 병이 들어 기능이 떨어진 승모판막의 치료 가이드라인을 기존 ‘관찰과 증상치료’에서 ‘조기수술’로 바꾸는 데 핵심 역할을 한 국내 의학자를 전 세계 심장학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덕현 교수팀은 50세 이상의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기존 ‘관찰과 증상치료’ 보다 ‘조기수술’을 하는 것이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치료 효과를 높인다는 임상 결과를 미국심장학회지(JACC) 최신호를 통해 밝혔습니다.
미국심장협회에서 수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심장판막전문클리닉을 갖추고 있으면서 심장판막 재건성형술의 예측 성공률이 95%이상, 수술 사망률이 1% 미만인 병원에서는 심한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에게 증상이 없어도 우선적으로 조기수술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혈액이 온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지기 위해 거쳐야하는 심장의 가장 중요한 문인 승모판막에 병이 들게 되면 심장이 제 기능을 못해 심부전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데, 기존에는 기능이 많이 떨어졌어도 증상이 없다면 ‘관찰과 증상치료’를 우선으로 해왔습니다. 그러나 강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50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수술을 기피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술 치료를 권장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를 좋게 한다는 것입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강덕현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승우 교수팀은 두 병원에서 지난 1996년부터 2009년까지 14년 동안 증상은 없지만 심하게 손상된 승모판 폐쇄 부전증으로 치료 받은 환자 610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조기에 적극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235명에서는 심장질환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가 단 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기존 치료 지침대로 수술을 하지 않고 ‘관찰과 증상치료’만 했던 375명의 환자군에서는 심장질환으로 인해 13명이 사망해 조기 수술군에서의 사망률이 기존 치료군에서의 10분의 1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기 수술의 효과는 50세 이상의 성인 환자들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치료대로 관찰과 증상치료만을 받을 때에는 심부전이나 사망이 발생하고 승모판막이 더 심하게 손상되어 승모판막 전체를 인공판막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조기 수술을 받은 환자의 94%에서 승모판을 통째로 교체하지 않고 환자의 승모판을 재건하는 승모판 성형술을 통해 폐쇄부전을 성공적으로 치료함으로써 수술 사망률이 없었고 장기적으로 우수한 치료 경과를 보였습니다. 강덕현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심잡음만 들릴 수도 있고, 가까운 동네병원에서도 청진기로 쉽게 심잡음을 확인하여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심장초음파를 통해 정확한 병의 진행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며, “손상된 판막을 성형해주는 수술을 통해 평생 판막질환의 공포에서 해방돼 안전하게 지낼 수 있다.” 고 조기 수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또한 강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국내외 치료 지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증상이 없더라도 심한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조기에 적절하게 치료함으로써 판막질환의 치료 성적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강덕현 교수팀은 지난 2009년 전 세계 심장학계 최고 권위 저널인 ‘서큐레이션(Circulation)’ 誌에 처음으로 심하게 병이 들어 기능이 떨어진 승모판막 치료에서 기존 ‘관찰과 증상 치료’의 틀을 깨고 ‘조기 적극 수술’이 치료 효과가 좋다는 것을 증명해 전 세계 심장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당시 심장학계 최고 권위의 ‘서큐레이션’ 誌 편집자들도 강덕현 교수팀의 ‘조기수술’ 권장에 대한 연구결과를 적극 수용하고 논평을 통해 지지하면서 2014년 세계치료 지침이 수정될 때까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