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 포커스
서울아산병원, 심내막염 새 치료기준 제시 | 등록일: 2012.06.29 | ||
---|---|---|---|
심장판막에 염증을 유발해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키는 `심내막염`에 관한 새로운 치료법이 제시되었습니다. 기존 '항생제 투여와 증상 치료'에서 진단 후 48시간 안에 수술을 시행하는 '조기 적극 수술'로 치료법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서울아산병원 강덕현 심장내과 교수는 이 같은 임상결과를 담은 '심내막염 치료에 대한 조기 수술과 관습적 치료법의 비교' 논문을 세계 최고 의학 저널로 인정받고 있는 'NEJM(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심장판막에 염증을 유발해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발생시키는 심내막염에 관한 치료법을 제시한 것으로, 심내막염 환자의 치료를 기존 '항생제 투여와 증상 치료'에서 진단 후 48시간 안에 수술을 시행하는 '조기 적극 수술'로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심내막염은 혈관을 따라 돌던 세균이나 곰팡이 같은 미생물이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고 손상된 심장판막에 달라붙어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심장판막에 세균 덩어리와 혈전(핏덩어리)을 형성하고 심부전, 색전증을 유발해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게 됩니다.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색전증은 뇌졸중과 심근경색증, 대동맥류 등을 발생시키며, 심내막염에 의한 가장 큰 사망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심내막염 치료는 그동안 세계적 의학자들 사이에서도 명확한 기준이 없었고 치료법이 불분명해 논쟁과 거듭하던 난제입니다. 지금까지 심내막염의 치료법은 4주 안팎의 항생제 주사로 원인이 되는 세균을 제거한 후 상황에 따라 수술을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조기 수술은 감염된 심장판막에 더 큰 부담을 준다는 인식에 따라 거의 시행되지 않았으며, 실제 치료 방향과 과정도 의료진의 개인적 판단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강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심내막염 환자는 진단 후 48시간 이내에 조기 수술을 해야 사망률 등 합병증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심내막염 발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색전증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는 만큼 조기 수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 교수는 2006~2011년까지 진료를 받은 심내막염 환자 76명을 조사한 결과, 강 교수의 치료법대로 조기에 수술을 받은 환자 37명의 합병증 발생률은 2.7%(1명)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기존 방법으로 치료를 받은 39명의 환자에서는 같은 기간 뇌경색, 동맥협착 등의 합병증 발생률이 28.2%에 달했습니다. 특히, 조기수술을 받은 환자그룹에서는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는 뇌졸중이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기존의 치료법을 적용한 환자그룹에서는 심내막염 진단 후 6주만에 5명의 환자에게서 뇌경색이 발생했습니다. 강 교수는 "논문이 NEJM에 등재됨에 따라 그동안 의학계에서 고민을 거듭했던 심내막염 환자의 치료법이 새롭게 정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감기와 혼동하다가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으므로, 심장판막증이 있는 환자들은 7일 이상 치료를 받아도 고열, 오한 등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심내막염을 의심하고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