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좌측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재단 포커스

상세페이지
서울아산병원, 국내 최초 신장이식 연 300례 달성 등록일: 2012.11.30

서울아산병원, 국내 최초 신장이식 연 300례 달성

생존율 98% 세계 최고ㆍ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국내 최다 135건 시행 중
 아시아 장기이식센터 중 유일하게 5년 연속 연 200례 이상 신장이식 기록
“올해 340건 수술 예상, 신장이식과 더불어 조기 췌장이식 통해 당뇨환자 근본적 치료해야”

장기기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장이식 연 300례 성공의 대기록이 달성되었습니다. 1969년 국내에서 첫 신장이식이 시행된 이래 43년 만에 단일의료기관에서는 처음으로 연 300건의 수술 돌파에 성공한 것입니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 한덕종 교수는 지난 15일(목) 만성 신장염을 앓고 있던 O형 이모씨(남, 33세)에게 B형인 부인 최모씨(여, 26세)의 신장을 이식하는 ABO 혈액형 부적합 이식에 성공하고 국내 최초의 신장이식 연(年) 300례를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수술 후 10일이 지난 현재 이씨는 정상적인 식사는 물론 가벼운 산책이 가능할 정도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300례 신장이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 수술의 81%인 242건이 생체 신장이식으로, 58건(19%)이 뇌사자 이식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300번째 환자인 이모씨처럼 혈액형이 맞지 않는 기증자의 신장을 이식하는 ABO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09년 2월 첫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시행한 이래 2009년 19건, 2010년 28건, 2011년 42건에 이어 올해에는 11월 까지 46건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135건의 수술을 시행, 국내 최다 수술을 기록 중입니다.

ABO 혈액형 부적합 장기이식은 수술 전 혈액형이 맞지 않는 기증자에게 혈장교환술, 면역글로블린, 면역억제제 주입 등의 방법을 통해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를 제거하고 수술을 시행하는 고난이도 이식 방법입니다.

수술 성공률은 국내를 넘어 세계 최고수준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식 장기의 생존 기간을 의미하는 이식편 생존율이 1년 98%, 5년 95%를 기록해 신장이식에 관해 세계 최고라는 스탠포드 대학, 미네소타 대학과 대등한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 255건의 신장이식에 성공한 신장이식팀은 올해 말까지 작년 대비 33% 증가한 총 340건의 수술을 예상하고 있어 국내는 물론 아시아 장기이식 역사를 새롭게 쓸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제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2008년부터 5년 연속 연 200례 이상의 신장이식을 시행하는 유일한 기관으로 압도적인 성공률과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가 갈수록 수술 성공이 증가하는 이유는 서울아산병원의 풍부한 임상경험과 첨단 수술기법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조직적합성항원(HLA)에 대한 항체 형성으로 양성의 교차반응을 일으켜 수술이 쉽지 않은 환자에게도 문제가 되는 항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탈감작(desensitization, 脫感作) 치료를 통해 성공적으로 신장이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T-flow 양성 뿐만 아니라 HLA 혈청학적 양성인 환자에게도 성공적으로 수술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한덕종 교수는 “세계 최강이라 할 수 있는 의료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환자 관리 등 최상의 치료성과를 이어가는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만성 신장질환으로 신장이식이 필요한 환자 중 절반 가까이가 당뇨 합병증이 원인인 상황에서 한 교수는 이식 대기자들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의 중요성도 강조하였습니다.

한 교수는 “당뇨합병증으로 신장이식을 기다리는 대기자들은 시간이 갈수록 심혈관 질환, 실명 등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 결국 생존율과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고 전하며, “이런 환자들은 신장이식과 더불어 인슐린 분비 장애를 해결해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 할 수 있는 췌장이식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당뇨합병증 발생 초기에 췌장이식을 할 경우 당뇨병으로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 당뇨병을 완치하는 것은 물론, 나중에 신장이식을 따로 받아야 하는 부담감과 이식 대기기간 증가 등 사회적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한덕종 교수는 “이식 대기기간을 최대한 줄이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기증자 부족으로 아직 많은 환자들이 고통 속에서 이식의 순간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하며, “세계 최고라고 할 수 있는 국내 장기이식 기술과 발맞춰 장기기증 문화도 더욱 활성화 돼 많은 환자들이 새로운 삶을 선물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신장이식팀은 신장이식에 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하고, 300례 돌파를 축하하기 위해 오는 12월 18일(화) ‘신장이식 300례 달성 기념식 및 건강강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아산사회복지재단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바로가기